반응형
- 질문
- 답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7조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근로자의 범죄행위가 원인이 되어 사망 등이 발생한 경우’란 근로자의 범죄행위가 사망 등의 직접 원인이 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지, 근로자의 폭행으로 자극을 받은 제3자가 그 근로자를 공격하여 사망 등이 발생한 경우와 같이 간접적이거나 부수적인 원인이 되는 경우까지 포함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대법원 2017. 4. 27. 선고 2016두55919 판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의 폭행으로 자극을 받은 제3자가 그 근로자를 공격하여 사망 등이 발생한 경우, 산업재해로 인정받을 수 있나요
- 답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7조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근로자의 범죄행위가 원인이 되어 사망 등이 발생한 경우’란 근로자의 범죄행위가 사망 등의 직접 원인이 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지, 근로자의 폭행으로 자극을 받은 제3자가 그 근로자를 공격하여 사망 등이 발생한 경우와 같이 간접적이거나 부수적인 원인이 되는 경우까지 포함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대법원 2017. 4. 27. 선고 2016두55919 판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임금 > 노동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인 미만 사업장에 일하는 근로자에게도 휴게시간을 주어야 하나요? (0) | 2022.07.28 |
---|---|
회사를 옮겨야 해서 한 달간 근로가 불가능할 경우 근로자의 동의를 받아 무급휴직을 해도되나요 (0) | 2022.07.28 |
근로자의 동의를 얻어 무급휴일을 연차유급휴가 사용일로 변경할 수 있나요? (0) | 2022.07.28 |
출산전후휴가의 사용이 업무 사정상 적절하지 않은 경우, 신청을 받더라도 사용자가 시기를 변경할 수 있나요? (0) | 2022.07.28 |
회사에 취업중인데 개인사업자를 별도로 내는 것이 가능한가요 (0) | 2022.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