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성년후견인이 피성년후견인을 대리하여 피성년후견인이 거주하고 있는 건물 또는 그 대지에 대하여 매도, 임대, 전세권 설정, 저당권 설정, 임대차의 해지, 전세권의 소멸, 그 밖에 이에 준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가정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민법 제947조의2 제5항). 따라서 사안의 경우 가정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할 것입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적 장애인 누나의 재산을 평소 홀어머니께서 잘 관리해 주신 덕에 누나에게 건물 몇 채가 있습니다. 홀어머니께서 돌아가시고 제가 누나의 성년후견인이 되었는데, 제가 누나를 대신하여 누나의 건물에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나요.
- 답변
성년후견인이 피성년후견인을 대리하여 피성년후견인이 거주하고 있는 건물 또는 그 대지에 대하여 매도, 임대, 전세권 설정, 저당권 설정, 임대차의 해지, 전세권의 소멸, 그 밖에 이에 준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가정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민법 제947조의2 제5항). 따라서 사안의 경우 가정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할 것입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상속 > 상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기사항부존재증명서는 어떨 때 발급하나요? (0) | 2023.09.13 |
---|---|
후견인도 후견사무를 한 것에 대해 돈을 받나요. (0) | 2023.09.12 |
한정후견이란 무엇인가요. (0) | 2023.09.12 |
가정법원이 친권자를 직접 정하는 경우도 있나요. (0) | 2023.09.12 |
친권자를 협의로 지정하였는데 친권자지정신고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0) | 2023.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