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 그 배우자 또는 상속의 선순위나 동순위에 있는 사람을 살해하거나 살해하려고 한 사람은 피상속인의 재산을 상속 받을 수 없습니다(민법 제1004조 제1호 참조). 그런데 사례에서 A(남)과 B(녀)는 사실혼 관계에 있으므로 B(녀)가 임신 중인 태아를 낙태하였는지 여부에 상관 없이 B(녀)는 A(남)의 재산을 상속 받을 수 없습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A(남)과 B(녀)는 사실혼 관계에 있습니다. 그런데 B(녀)가 임신 한 태아를 낙태한 이후에 A(남)이 사망한 경우에 B(녀)는 A(남)의 재산을 상속 받을 수 있나요.
- 답변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 그 배우자 또는 상속의 선순위나 동순위에 있는 사람을 살해하거나 살해하려고 한 사람은 피상속인의 재산을 상속 받을 수 없습니다(민법 제1004조 제1호 참조). 그런데 사례에서 A(남)과 B(녀)는 사실혼 관계에 있으므로 B(녀)가 임신 중인 태아를 낙태하였는지 여부에 상관 없이 B(녀)는 A(남)의 재산을 상속 받을 수 없습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상속 > 상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상속인이 외국인인 경우에도 우리나라 법에 의해 상속받을 수 있나요? (0) | 2023.09.17 |
---|---|
상속결격사유는 언제 발생하여야 하나요. (0) | 2023.09.17 |
아버지로부터 부동산을 상속하는 경우 취득세액 산정시 세율은 얼마인가요. (0) | 2023.09.17 |
별장을 상속한 경우에도 중과세세율을 적용하여 취득세를 부과하나요. (0) | 2023.09.17 |
아버님 명의의 아파트가(취득 당시 5500만원)가 한채 있습니다. 아버님이 사망하셔서 자식들은 관여하지 않고 어머님 앞으로 상속을 하려고 합니다. 여기서 부부관계인 상태에서도 취득세를 .. (0) | 2023.09.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