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태아가 살아서 태어난 경우에는 문제의 시기로 소급하여 상속인이 되므로(민법 제1000조 제3항), 피상속인의 직계비속으로서 제1순위 상속인에 해당합니다(민법 제1000조 제1항 제1호).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피상속인의 태아는 상속순위가 어떻게 되나요.
- 답변
태아가 살아서 태어난 경우에는 문제의 시기로 소급하여 상속인이 되므로(민법 제1000조 제3항), 피상속인의 직계비속으로서 제1순위 상속인에 해당합니다(민법 제1000조 제1항 제1호).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상속 > 상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인이란 (0) | 2023.09.17 |
---|---|
상속인의 범위와 순위는 어떻게 되나요. (0) | 2023.09.17 |
양부모와 친부모는 상속순위에서 차별을 받나요. (0) | 2023.09.17 |
친할아버지와 외할머니가 있습니다. 손자가 죽은 경우에 친할아버지가 상속에서 우선하나요. (0) | 2023.09.17 |
갑이 보험회사와 연금보험계약을 체결하면서 본인 사망시의 보험수익자를 그 상속인으로 정하였는데, 그 후 상속할 배우자나 직계비속, 직계존속 없이 사망하였습니다. 그런데 갑에게는 이.. (0) | 2023.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