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출산전후휴가, 유산·사산휴가, 육아휴직은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면 효력이 발생하는 강행법규로서 사업주는 근로자가 유산·사산휴가, 육아휴직을 신청하면 부여하여야 하며, 출산전후휴가는 근로자의 신청이 없어도 근로자가 출산한 사실을 알았다면 부여해야 합니다. (여성고용정책과-3391, 2017.08.29)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산·사산휴가,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의 휴가·휴직 신청을 사용자가 거부할 수도 있나요?
- 답변
출산전후휴가, 유산·사산휴가, 육아휴직은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면 효력이 발생하는 강행법규로서 사업주는 근로자가 유산·사산휴가, 육아휴직을 신청하면 부여하여야 하며, 출산전후휴가는 근로자의 신청이 없어도 근로자가 출산한 사실을 알았다면 부여해야 합니다. (여성고용정책과-3391, 2017.08.29)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임금 > 노동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조건 차별로 인해 손해를 입은 근로자가 행할 수 있는 구제신청방안에는 무엇이 있나요. (0) | 2023.09.18 |
---|---|
취업규칙에서 정한 근로조건의 기준에는 채용에 관한 기준도 포함되나요. (0) | 2023.09.18 |
입사하여 최초 1년간의 퇴직금은 받지 않기로 당사자가 약정한 경우 이 약정은 유효한가요? (0) | 2023.09.18 |
부당해고 판정으로 복직하게 된 경우 퇴직금의 산정은 최초 입사일부터 해야 맞는건가요? (0) | 2023.09.18 |
정년퇴임한 교사에게 견책을 내릴 수도 있나요? (0) | 2023.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