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취업규칙에서 근로자에 대하여 감급(減給)의 제재를 정할 경우에 그 감액은 1회의 금액이 평균임금의 1일분의 2분의 1을, 총액이 1임금지급기의 임금 총액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한다. (근로기준법 제95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취업규칙상의 감급의 규제는 어떻게 되나요.
- 답변
취업규칙에서 근로자에 대하여 감급(減給)의 제재를 정할 경우에 그 감액은 1회의 금액이 평균임금의 1일분의 2분의 1을, 총액이 1임금지급기의 임금 총액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한다. (근로기준법 제95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임금 > 노동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사규정 중 해직사유에 관한 보완 및 변경이 근로자에게 불이익 한 변경 인가요. (0) | 2023.09.21 |
---|---|
2개 이상의 법인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정년과 기초임금은 상향 조정되었으나 퇴직금지급률을 하향 조정한 경우 불이익변경에 해당하나요. (0) | 2023.09.21 |
취업규칙 무효의 요건은 무엇인가요. (0) | 2023.09.21 |
취업규칙에 미달하는 근로조건이 포함된 근로계약에서, 무효로 된 미달하는 근로조건은 해당 근로계약에서 삭제되나요. (0) | 2023.09.21 |
취업규칙을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지 않으면 효력이 발생하지 않나요. (0) | 2023.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