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3조는 일용근로자의 평균임금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금액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2017년 기준 별도로 정해진 바가 없고, 상용근로자와 마찬가지로 3개월 간의 임금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면 3개월간 지급받은 임금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누어 평균임금을 계산하여야 할 것입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용직근로자의 평균임금 산정도 일반 상용 근로자와 같은 방식으로 산정하나요
- 답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3조는 일용근로자의 평균임금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금액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2017년 기준 별도로 정해진 바가 없고, 상용근로자와 마찬가지로 3개월 간의 임금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면 3개월간 지급받은 임금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누어 평균임금을 계산하여야 할 것입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임금 > 평균임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균임금 산정기간 중 지급된 임금 전체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평균임금 산정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0) | 2023.09.28 |
---|---|
택시회사에서 평균임금에 포함되어야 할 사납금 초과운송수입금을 평균임금에서 제외하기로 노사간에 합의한 경우 그 효력은 어떻게 되나요 (0) | 2023.09.28 |
개인포상금도 감급 산정시 반영하는 임금에 포함되나요 (0) | 2023.09.28 |
개인포상금도 감급 산정시 반영하는 임금인가요? (0) | 2023.09.28 |
개인포상금도 감급 산정시 반영하는 임금에 포함되나요 (0) | 2023.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