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묵시적 갱신이 된 경우에 임차인은 언제든지 임대인에게 계약해지를 통지 할 수 있고, 임대인이 그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3개월이 지나면 효력이 발생합니다(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 2 참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묵시적 갱신이 된 경우에 임차인은 계약 해지를 할 수 없나요.
- 답변
묵시적 갱신이 된 경우에 임차인은 언제든지 임대인에게 계약해지를 통지 할 수 있고, 임대인이 그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3개월이 지나면 효력이 발생합니다(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 2 참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부동산임대차 > 주택임대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차인이 주택의 보일러가 고장나 보일러의 수리를 한 경우 임대인은 보일러 수리비의 상당액을 임차인에게 지급하여야 하나요. (0) | 2023.10.24 |
---|---|
주택의 지붕에 하자(비가 세는 등)가 발생하여 임차인이 자신의 비용으로 지붕을 수리한 경우 임대인은 임차인에게 지붕 수리비 상당액을 지급할 의무를 부담하나요. (0) | 2023.10.24 |
임차인은 차임이나 보증금이 경제사정의 변동으로 적절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 차임이나 보증금의 감액을 청구할 수 있나요. (0) | 2023.10.24 |
계약 중인데 월세가 50만원이였는데, 65만원으로 증액한다고 하는데 그대로 올려줘야 하나요? (0) | 2023.10.23 |
임대인이 월세를 인상한다는데 인상 해줘야 하나요? (0) | 2023.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