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유증의 승인이나 포기는 취소하지 못하나(민법 제1075조 제1항), 미성년자가 단독으로 한 승인·포기 등과 같이 의사표시에 하자가 있는 경우 취소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1075조 제2항, 제1024조 제2항 참조). 그 취소권은 추인할 수 있는 날로부터 3개월, 승인 또는 포기한 날로부터 1년 내에 행사하지 않으면 소멸합니다(민법 제1075조 제2항, 민법 제1024조 제2항 단서 참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정유증을 받은 미성년자가 부모님 허락도 없이 단독으로 유증을 포기한 경우, 이를 취소할 수 있나요.
- 답변
유증의 승인이나 포기는 취소하지 못하나(민법 제1075조 제1항), 미성년자가 단독으로 한 승인·포기 등과 같이 의사표시에 하자가 있는 경우 취소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1075조 제2항, 제1024조 제2항 참조). 그 취소권은 추인할 수 있는 날로부터 3개월, 승인 또는 포기한 날로부터 1년 내에 행사하지 않으면 소멸합니다(민법 제1075조 제2항, 민법 제1024조 제2항 단서 참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상속 > 유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언자가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을 하는데 제가 증인을 하기로 하였습니다. 중간에 일이 있어서 가도 되나요. (0) | 2022.07.16 |
---|---|
공증인이 출장을 가서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을 작성 할 수 있나요. (0) | 2022.07.16 |
특정유증에서 유증의 목적물은 유언자가 사망한 때 바로 수증자에게 귀속하나요. (0) | 2022.07.15 |
유언집행자의 지정을 위탁 받은 사람에게 지정의 통지를 받지 못한 경우 최고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0) | 2022.07.15 |
혼인신고를 한 지 8개월 정도 된 때 아내가 아이를 출산하였는데, 내 자식이 아닌 것 같습니다. 이 경우 유언으로 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의 소를 제기할 수 있나요. (0) | 2022.07.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