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상속재산에 대하여 그 소유의 범위를 정하는 내용의 공동상속재산 분할협의는 그 행위의 객관적 성질상 상속인 상호간의 이해의 대립이 생길 우려가 있는 민법 제921조 소정의 이해상반되는 행위에 해당하므로 공동상속인인 친권자와 미성년인 수인의 자 사이에 상속재산 분할협의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미성년자 각자마다 특별대리인을 선임하여 그 각 특별대리인이 각 미성년자인 자를 대리하여 상속재산분할의 협의를 하여야 하고, 만약 친권자가 수인의 미성년자의 법정대리인으로서 상속재산 분할협의를 한 것이라면 이는 민법 제921조 에 위반된 것으로서 이러한 대리행위에 의하여 성립된 상속재산 분할협의는 적법한 추인이 없는 한 무효라고 할 것이다(대법원 2001. 6. 29. 선고 2001다28299 판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갑에게는 처 을과 자녀인 미성년자 병이 있습니다. 갑이 사망한 이후에 을과 미성년자 병이 상속재산 분할을 협의하고자 합니다. 이 경우 을은 미성년자 병을 대리하여 상속재산을 분할할 수 있나요.
- 답변
상속재산에 대하여 그 소유의 범위를 정하는 내용의 공동상속재산 분할협의는 그 행위의 객관적 성질상 상속인 상호간의 이해의 대립이 생길 우려가 있는 민법 제921조 소정의 이해상반되는 행위에 해당하므로 공동상속인인 친권자와 미성년인 수인의 자 사이에 상속재산 분할협의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미성년자 각자마다 특별대리인을 선임하여 그 각 특별대리인이 각 미성년자인 자를 대리하여 상속재산분할의 협의를 하여야 하고, 만약 친권자가 수인의 미성년자의 법정대리인으로서 상속재산 분할협의를 한 것이라면 이는 민법 제921조 에 위반된 것으로서 이러한 대리행위에 의하여 성립된 상속재산 분할협의는 적법한 추인이 없는 한 무효라고 할 것이다(대법원 2001. 6. 29. 선고 2001다28299 판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상속 > 상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유족연금의 지급시기는 어떻게 되나요. (0) | 2023.09.12 |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유족연금수급권은 양도나 압류의 대상이 되나요. (0) | 2023.09.12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서 근로자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는 사유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0) | 2023.09.12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수급권자가 유족특별급여를 받은 경우에도 이와 상관없이 수급권자는 민법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나요. (0) | 2023.09.12 |
A가 소유하는 대지에 B가 아무런 권원도 없이 자기 소유의 건물을 축조하였습니다. 그리고 나서 B가 사망하자 A는 B의 공동상속인 C, D 중에서 C만을 상대로 위 건물의 철거를 구하는 소를 제기.. (0) | 2023.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