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한정승인이 있는 경우에도 상속인은 피상속인의 권리와 의무를 포괄적으로 승계하고 단지 상속재산 범위 내에서 피상속인의 채권자에게 변제할 책임이 있을 뿐입니다(민법 제1028조 참조). 따라서 한정승인이 있는 경우에도 피상속인이 상속인에 대하여 갖는 권리는 상속과 동시에 혼동으로 소멸한다고 할 것입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정승인이 있는 경우 피상속인의 상속인에 대하여 갖는 권리는 피상속인의 채권자에게 배당변제가 있기 전까지는 소멸하지 않는 것이죠.
- 답변
한정승인이 있는 경우에도 상속인은 피상속인의 권리와 의무를 포괄적으로 승계하고 단지 상속재산 범위 내에서 피상속인의 채권자에게 변제할 책임이 있을 뿐입니다(민법 제1028조 참조). 따라서 한정승인이 있는 경우에도 피상속인이 상속인에 대하여 갖는 권리는 상속과 동시에 혼동으로 소멸한다고 할 것입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상속 > 상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재산분리 청구는 언제까지 하여야 하나요. (0) | 2023.09.14 |
---|---|
피상속인으로부터 상속재산을 특정 유증 받은 사람은 상속재산분리를 청구할 수 있나요. (0) | 2023.09.14 |
상속인이 가정법원에 상속포기의 신고를 하였는데, 이를 수리하는 심판이 고지되기 전에 상속재산을 처분하였습니다. 이 경우 상속인의 행위에 대해 단순승인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나요. (0) | 2023.09.13 |
친생자관계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어느 법원에 소송을 제기해야 하나요. (0) | 2023.09.13 |
남편이 전처와의 사이에 낳은 아이를 친양자로 입양하고 싶은데, 이 경우 전처인 생모의 허락을 꼭 받아야 하나요. (0) | 2023.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