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상속인이 상속을 포기할 때에는 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상속개시지의 가정법원에 포기의 신고를 해야 합니다(「민법」 제1041조, 제1019조제1항 및 「가사소송법」 제44조제6호).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상속을 포기하려고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답변
상속인이 상속을 포기할 때에는 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상속개시지의 가정법원에 포기의 신고를 해야 합니다(「민법」 제1041조, 제1019조제1항 및 「가사소송법」 제44조제6호).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상속 > 상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버지가 몇 년 전에 돌아 가시고 나서 등기부 등본을 떼어 봤더니 아버지가 남긴 부동산에 관하여 큰 형님 명의로 매매에 의하여 소유권이전등기된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런데, 매매 일.. (0) | 2023.09.16 |
---|---|
상속회복청구의 소를 제기한 경우 권리행사 기간의 준수여부는 법원이 직권으로 조사하나요. (0) | 2023.09.16 |
상속포기 신고를 하려고 합니다. 상속포기 신고를 하려면 동사무소로 가야 하나요. (0) | 2023.09.16 |
상속포기 기간을 연장 받고 싶습니다. 상속포기 기간을 연장 받으려면 동사무소에서 연장 신청을 하여야 하나요. (0) | 2023.09.15 |
조건부 상속 포기도 가능한가요. (0) | 2023.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