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사산 시점부터 새로이 유·사산 휴가를 부여해야 하며, 따라서 분만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임신 주차의 유·사산 휴가와 남은 출산전후휴가 중 긴 기간을 부여해야 합니다. (여성고용정책과-3216, 2015.10.15)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쌍둥이 출산예정이었으나 1명 정상출산, 1명 분만 시 사산된 경우 사산휴가는 어떻게 받나요?
- 답변
사산 시점부터 새로이 유·사산 휴가를 부여해야 하며, 따라서 분만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임신 주차의 유·사산 휴가와 남은 출산전후휴가 중 긴 기간을 부여해야 합니다. (여성고용정책과-3216, 2015.10.15)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임금 > 노동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이 본인출산에 의하지 않고 입양 또는 대리모등의 방법을 통하여 생후 1년 미만의 영아를 가지게 되어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나요? (0) | 2023.09.24 |
---|---|
파견근로자가 산전후(유산․사산)휴가를 사용한 경우 그 휴가에 대하여 유급으로 지급되는 임금은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 중 누가 지급해야 하나요? (0) | 2023.09.23 |
쌍둥이 출산예정이었으나 1명 정상출산, 분만 전에 1명 유산된 경우 유산휴가는 어떻게 받나요? (0) | 2023.09.23 |
쌍둥이 출산예정이었으나 2명 모두 출산하지 못하고, 분만 시에 사산된 경우 사산휴가는 어떻게 받나요? (0) | 2023.09.23 |
다태아 출산예정이였으나 각각 다른 시기에 2명 모두 유산된 경우 유산휴가는 어떻게 받나요? (0) | 2023.09.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