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파견법 제5조 제5항을 위반한 파견사업주에게는 형사처벌 및 행정처분(영업정지 또는 허가취소), 사용사업주에게는 형사처벌과 직접고용의무가 부과됩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 파견대상이 아닌 업무에 파견근로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어떤 법적 책임이 부과되나요
- 답변
파견법 제5조 제5항을 위반한 파견사업주에게는 형사처벌 및 행정처분(영업정지 또는 허가취소), 사용사업주에게는 형사처벌과 직접고용의무가 부과됩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임금 > 노동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 몇 명이 장기간 연차휴가를 가서 업무 공백이 발생한 경우에도 일시적으로 인력이 부족한 경우에 해당하나요 (0) | 2023.09.27 |
---|---|
파견업종에 절대금지 대상업무란 무엇인가요 (0) | 2023.09.27 |
근로자를 파견 받아 2년 이상 사용하고 있는데 회사가 곧 도산 예정입니다. 이 경우에도 파견근로자를 직접 고용해야 하나요 (0) | 2023.09.27 |
2년 이상 파견근로자를 사용해도 직접 고용의무가 발생하지 않는 '부득이한 사유'에는 무엇이 있나요 (0) | 2023.09.27 |
직원 중 한 명이 질병으로 인해 장기휴가를 가서 이를 대체할 파견근로자를 사용 중인데, 해당 파견근로자도 2년을 초과할 수 없나요 (0) | 2023.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