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5조에 따라 근로기준법의 재해보상금 산정 시 그 근로자가 소속한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같은 직종의 근로자에게 지급된 통상임금의 1명당 1개월 평균액(이하 "평균액"이라 한다)이 그 부상 또는 질병이 발생한 달에 지급된 평균액보다 100분의 5 이상 변동된 경우에는 그 변동비율에 따라 인상되거나 인하된 금액으로 하되, 그 변동 사유가 발생한 달의 다음 달부터 적용합니다. 다만, 제2회 이후의 평균임금을 조정하는 때에는 직전 회의 변동 사유가 발생한 달의 평균액을 산정기준으로 합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에 의한 재해보상금 산정시 평균임금이 변동될 수 있나요
- 답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5조에 따라 근로기준법의 재해보상금 산정 시 그 근로자가 소속한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같은 직종의 근로자에게 지급된 통상임금의 1명당 1개월 평균액(이하 "평균액"이라 한다)이 그 부상 또는 질병이 발생한 달에 지급된 평균액보다 100분의 5 이상 변동된 경우에는 그 변동비율에 따라 인상되거나 인하된 금액으로 하되, 그 변동 사유가 발생한 달의 다음 달부터 적용합니다. 다만, 제2회 이후의 평균임금을 조정하는 때에는 직전 회의 변동 사유가 발생한 달의 평균액을 산정기준으로 합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임금 > 평균임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포상금도 감급 산정시 반영하는 임금에 포함되나요 (0) | 2023.09.29 |
---|---|
개인포상금도 감급 산정시 반영하는 임금인가요? (0) | 2023.09.29 |
업무상 재해로 요양 중에 회사의 퇴직 권유를 수용하여 퇴직하기로 하였는데 퇴직금 산정을 위한 평균임금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0) | 2023.09.28 |
업무상 재해로 인한 휴업이 종료된 이후 복직하여 근로하다가 퇴직한 근로자의 경우에도 평균임금 조정 대상이 되나요 (0) | 2023.09.28 |
뇌출혈 질병에 대하여 업무상재해로 인정 받아 요양하다가 회사에 복직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퇴직한 경우 퇴직금 산정을 위한 평균임금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0) | 2023.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