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휴일근로의 경우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의 가산 수당을 받게 되는데(근로기준법 제56조), 유급휴일에 대한 임금은 원래 소정 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 대하여만 지급되는 것으로서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고정적인 임금이라고 할 수 없어 통상임금에는 해당되지 않으므로 휴일근로수당 산정기초가 되는 임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주휴일에 근무를 하지 않았으나 유급으로 당연히 지급되는 임금)은 휴일근로수당 산정기초가 되는 임금인가요?
- 답변
휴일근로의 경우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의 가산 수당을 받게 되는데(근로기준법 제56조), 유급휴일에 대한 임금은 원래 소정 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 대하여만 지급되는 것으로서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고정적인 임금이라고 할 수 없어 통상임금에는 해당되지 않으므로 휴일근로수당 산정기초가 되는 임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임금 > 통상임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휴수당(주휴일에 근무를 하지 않았으나 유급으로 당연히 지급되는 임금)은 야간근로수당 산정기초가 되는 임금에 포함되나요 (0) | 2023.10.09 |
---|---|
주휴수당으로 지급되는 금액은 휴일근로수당 산정기초가 되는 임금에 포함되나요? (0) | 2023.10.09 |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기준근로시간을 초과하는 소정근로시간 대한 임금으로 일급금액이 정해진 경우, 통상임금은 어떻게 산정하나요? (0) | 2023.10.09 |
회사에서 미혼자 등 가족이 없는 경우에도 가족수당의 절반을 지급하고 있는 경우, 이러한 수당도 휴일근로수당의 산정기초가 되는 임금인가요? (0) | 2023.10.08 |
비행기 승무원에게 지급되는 이착륙수당은 휴일근로수당 산정 기초가 되는 임금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나요? (0) | 2023.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