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공무원의 신분이나 직무상 의무와 관련이 없는 범죄의 경우에도 퇴직급여 등을 제한하는 것은, 공무원범죄를 예방하고 공무원이 재직중 성실히 근무하도록 유도하는 입법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합한 수단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헌법재판소 2007. 3. 29. 2005헌바33).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이 직무상 의무와 무관한 범죄를 저지른 경우 퇴직금을 감액할 수 있나요?
- 답변
공무원의 신분이나 직무상 의무와 관련이 없는 범죄의 경우에도 퇴직급여 등을 제한하는 것은, 공무원범죄를 예방하고 공무원이 재직중 성실히 근무하도록 유도하는 입법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합한 수단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헌법재판소 2007. 3. 29. 2005헌바33).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해고 > 해고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금압박에 따라 퇴직금의 기일내 지급이 늦추어진 경우에도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나요? (0) | 2023.10.13 |
---|---|
부당해고 사건에서 회사가 패소하였습니다. 그런데 회사에서 계속 복직을 거부하는 경우 임금말고 위자료도 주어야 하는가요? (0) | 2023.10.13 |
사직 (0) | 2023.10.13 |
아르바이트를 하는 사람도 정리해고를 하려면 근로기준법의 요건이 갖추어야자 하나요? (0) | 2023.10.07 |
아르바이트로 일을 구해 석달 정도 근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회사가 어려워서 분위기가 안좋은데, 아르바이트생도 정리해고가 될 수 있는가요? (0) | 2023.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