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사용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근로기준법 제109조 제1항)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야간근로에 대하여 가산임금을 지급하지 아니하면 처벌받게 되나요
- 답변
사용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근로기준법 제109조 제1항)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임금 > 법정수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택적 근로시간제도를 실시하는 경우 근무계획(출퇴근시간)을 다시 신고하게 하거나 그 근무계획에 대하여 소속부서장의 승인을 필요로 한다는 규정은 유효한가요 (0) | 2023.10.17 |
---|---|
연장근로의 경우 가산임금은 어떻게 되나요 (0) | 2023.10.17 |
출산한 여성 근로자에 대한 시간외 근로제한이 있나요 (0) | 2023.10.17 |
사업자가 연차휴가를 부여하지 않은 경우 처벌받을 수 있나요. (0) | 2023.10.17 |
휴일에 근로를 한 경우 임금은 얼마를 지급해야 하나요 (0) | 2023.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