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근저당권자가 담보로 제공된 건물에 대한 담보가치를 조사할 당시 대항력을 갖춘 임차인이 그 임대차 사실을 부인하고 임차보증금에 대한 권리주장을 않겠다는 내용의 확인서를 작성해 준 경우, 그 후 그 건물에 대한 경매절차에서 이를 번복하여 대항력 있는 임대차의 존재를 주장함과 아울러 근저당권자보다 우선적 지위를 가지는 확정일자부 임차인임을 주장하여 그 임차보증금반환채권에 대한 배당요구를 하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금반언 및 신의칙에 위반되어 허용될 수 없다고 볼 것입니다(대법원 1997.6.27, 선고, 97다12211, 판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임차 주택에 대하여 은행이 근저당권을 설정 받기 위하여 담보가치 조사를 할 때에 대항력을 갖춘 임차인이 그 임대차 사실을 부인하고 임차보증금에 대한 권리주장을 않겠다는 내용의 확인서를 작성해 주었습니다. 이 경우에도 임차인은 경매절차에서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나요.
- 답변
근저당권자가 담보로 제공된 건물에 대한 담보가치를 조사할 당시 대항력을 갖춘 임차인이 그 임대차 사실을 부인하고 임차보증금에 대한 권리주장을 않겠다는 내용의 확인서를 작성해 준 경우, 그 후 그 건물에 대한 경매절차에서 이를 번복하여 대항력 있는 임대차의 존재를 주장함과 아울러 근저당권자보다 우선적 지위를 가지는 확정일자부 임차인임을 주장하여 그 임차보증금반환채권에 대한 배당요구를 하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금반언 및 신의칙에 위반되어 허용될 수 없다고 볼 것입니다(대법원 1997.6.27, 선고, 97다12211, 판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부동산임대차 > 주택임대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로 2년 계약을 하고 1년이 지난 상태에서 전세입자에게 보증금을 5% 이내로 올려달라고 하는 증액청구가 법적으로 가능한가요? (0) | 2023.10.18 |
---|---|
기간을 정하지 않고 주택에 임차하여 살고 있습니다. 이 경우 임대인은 언제라도 저보고 나가라고 할 수 있나요. (0) | 2023.10.18 |
3층 상가건물에 옥탑을 주거용으로 무허가 건축한 건물을 빌려 살아도 주택임대차보호법 상 보호 대상이 되나요. (0) | 2023.10.18 |
아버지 명의의 주택을 임대하려고 하는데 아버지가 사망하였습니다. 제가 임의로 주택을 임대하여도 되나요. (0) | 2023.09.08 |
임차인이 불가피하게 미성년자인 임대인과 계약을 체결해야 되는 경우 계약을 유효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0) | 2023.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