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일정한 조건 하에서 재건축을 하는 경우 권리금 보호를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① 임대차계약 체결 당시 공사시기 및 소요기간 등을 포함한 철거 또는 재건축 계획을 임차인에게 구체적으로 고지하고 그 계획에 따르는 경우, ② 건물이 노후·훼손 또는 일부 멸실되는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경우, ③ 다른 법령에 따라 철거 또는 재건축이 이루어 지는 경우의 재건축은 권리금회수 기회를 보호받지 못할 것입니다(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10조의 4 제 1항 단서, 제 10조 제1항 제7호 참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 약국을 운영하기 위해 상가건물을 임차한 사람입니다. 얼마 전 건물주가 바뀌면서, 이번 임대차계약기간이 끝나면 재건축을 할 생각이니 점포를 비워달라고 합니다. 재건축을 한다고 하니 다음 임차인도 구할 수가 없습니다. 재건축을 한다면 권리금 주장은 못하는 것인가요.
- 답변
일정한 조건 하에서 재건축을 하는 경우 권리금 보호를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① 임대차계약 체결 당시 공사시기 및 소요기간 등을 포함한 철거 또는 재건축 계획을 임차인에게 구체적으로 고지하고 그 계획에 따르는 경우, ② 건물이 노후·훼손 또는 일부 멸실되는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경우, ③ 다른 법령에 따라 철거 또는 재건축이 이루어 지는 경우의 재건축은 권리금회수 기회를 보호받지 못할 것입니다(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10조의 4 제 1항 단서, 제 10조 제1항 제7호 참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부동산임대차 > 상가임대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가건물 임대차계약을 체결할 당시 임차인이 임대차계약을 종료한 후 원상회복하기로 하는 조항이 있었습니다. 원상회복 조항이 있으면 임차인은 권리금을 받아 나올 수 없는 것인가요. (0) | 2023.10.21 |
---|---|
임대인이 월세를 많이 올리면 전부 권리금 방해가 되는 것인가요. (0) | 2023.10.21 |
권리금에도 세금이 붙나요. (0) | 2023.10.21 |
임차인이 차임을 4달 째 연체하였습니다. 임차인이 과실이 있어도 권리금이 보호되어야 하는지요. (0) | 2023.10.20 |
임대인의 권리금 회수 방해행위 중 ‘현저히 고액의 차임과 보증금을 요구하는 행위’는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가요. (0) | 2023.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