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기간을 정하지 않고 주택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 임대차기간은 2년으로 봅니다(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 제1항).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택임대차계약을 체결하면서 임대차기간을 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떻게 되나요.
- 답변
기간을 정하지 않고 주택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 임대차기간은 2년으로 봅니다(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 제1항).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부동산임대차 > 주택임대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하는데 들어간 비용은 임차인이 부담하나요. (0) | 2023.10.23 |
---|---|
임차건물에 대하여 경매가 행하여진 경우 임차권은 소멸하나요. (0) | 2023.10.23 |
주택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전까지 갱신 거절의 통지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0) | 2023.10.23 |
철거대상으로 지정된 무허가 건물에 살아도 전입신고를 하면 대항력을 취득할 수 있나요. (0) | 2023.10.23 |
주택 주민등록 및 전입신고를 하기 전에 가등기가 등기부등본에 먼저 있었습니다. 가등기가 넘어가서 새로운 사람이 소유권을 취득하고 본등기를 완료하였는데 임차인이 대항할 수 있나요. (0) | 2023.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