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계약이 갱신된 경우에도 임차인은 언제든지 계약해지를 통고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임대인이 통고를 받은 날부터 3개월이 지나야 효력이 발생합니다(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10조 제5항).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임대차 계약을 연장했는데, 다른 상가로 이전해야 될 일이 발생했는데, 이런경우 연장된 계약기간을 준수해야 되나요?
- 답변
계약이 갱신된 경우에도 임차인은 언제든지 계약해지를 통고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임대인이 통고를 받은 날부터 3개월이 지나야 효력이 발생합니다(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10조 제5항).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부동산임대차 > 상가임대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차한 건물을 고의로 파소한 임차인도 권리금을 회수할 권리가 보장되나요. (0) | 2023.10.31 |
---|---|
계약갱신요구를 하여 계약이 갱신되었는데 급하게 다른 곳으로 상가를 옮겨야 할 사유가 발생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 임차인은 연장된 계약기간동안 계약해지를 할 수 없나요. (0) | 2023.10.31 |
임대차 기간을 연장하고 싶은데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0) | 2023.10.31 |
월세도 제때 내지 못하면서 상가 계약을 연장해달래요. (0) | 2023.10.31 |
상가 건물을 재건축해야되는 상황인데, 임차인이 임대계약 연장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계약 연장을 해줘야 되는지요? (0) | 2023.10.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