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유증에는 조건이나 기한 및 부담을 붙일 수 있습니다(「민법」 제1073조제2항, 「민법」제1089조제2항, 「민법」 제1088조 및 「민법」 제1111조). 조건(條件)이란 법률행위의 효력의 발생 또는 소멸을 장래의 불확실한 사실의 성부(成否)에 의존하게 하는 법률행위의 부관을 말합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증에 조건을 붙일 수 있나요.
- 답변
유증에는 조건이나 기한 및 부담을 붙일 수 있습니다(「민법」 제1073조제2항, 「민법」제1089조제2항, 「민법」 제1088조 및 「민법」 제1111조). 조건(條件)이란 법률행위의 효력의 발생 또는 소멸을 장래의 불확실한 사실의 성부(成否)에 의존하게 하는 법률행위의 부관을 말합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상속 > 유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권자는 누구를 가리키나요. (0) | 2023.07.24 |
---|---|
유언으로 미성년후견감독인의 지정이 가능한가요. (0) | 2023.07.24 |
누구든지 다른 사람의 유언을 통하여 그로부터 재산을 수여 받을 수 있나요. (0) | 2023.07.24 |
유언자는 유언으로 유언집행자를 지정할 수도 있나요. (0) | 2023.07.24 |
법원에 의하여 유언집행자로 선임되었습니다. 그러나 유언집행자의 지위를 사퇴하려고 합니다. 상속인의 동의를 받으면 사퇴할 수 있나요. (0) | 2023.07.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