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민법 제379조에 따라 연 5푼의 지연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임금이 체불되면 이자는 얼마인가요?
- 답변
민법 제379조에 따라 연 5푼의 지연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임금 > 임금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가 일정 기간 동안 근무하기로 하고 이를 어길 시 일정 금액을 사용자에게 지급하기로 한 약정이 유효한가요? (0) | 2023.10.09 |
---|---|
해외 타 회사에서 교육훈련의 파견근무를 한 경우, 의무재직기간 이상 근무하지 않는다면 파견된 해외 회사로부터 지급받은 금품을 반환하기로 약정할 수 있나요? (0) | 2023.10.09 |
임금채권 소멸시효가 지났지만 사업주를 형사처벌할 수 있나요? (0) | 2023.09.25 |
근로자들이 사업주로부터 임금채권 대신에 약속어음을 양도받은 경우 임금채권은 소멸하는건가요? (0) | 2023.09.23 |
임금이 계속 밀려 회사 부동산에 경매신청을 했는데, 부동산에 저당권이 여러 개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경매절차에서 임금을 변제받을 수 있을까요. (0) | 2023.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