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쟁의행위는 적어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서 정한 노동조합의 요건을 갖춘 노동조합이 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근로자 개인들의 파업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 개인이 파업을 하면 안되나요?
- 답변
쟁의행위는 적어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서 정한 노동조합의 요건을 갖춘 노동조합이 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근로자 개인들의 파업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해고 > 징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들이 파업을 하여 징계해고를 하려고 합니다. 파업이 정당하다면 징계해고가 불가하겠지만 정당성이 없고 회사에 끼친 피해가 막심하다면 해고를 할 수 있는 것이지요? (0) | 2023.02.09 |
---|---|
노조에서 파업을 하면서 일부 임원들을 밀치는 등 폭력을 행사하였습니다. 이러한 폭력은 형사상 범죄행위가 될 수 있는가요? (0) | 2023.02.09 |
근로자들이 준법투쟁을 하는 것이 쟁위행위에 해당하는가요? (0) | 2023.02.09 |
폭행이란 무엇인가요? (0) | 2023.02.09 |
취업규칙에 징계해고가 징계처분의 수단으로 명시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 한 징계해고 효력이 있나요 (0)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