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질문
- 답변
주중에 휴일 또는 휴가가 있어 근로를 제공하지 않은 경우 그러한 휴일 또는 휴가기간은 실근로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그 시간을 제외하고 1주 40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연장근로가 됩니다(대법 91다14406, 1992. 10. 9.).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중에 휴가가 있어 일을 안 했는데 토요일에 근무를 한 경우 연장근로로 볼 수 있나요
- 답변
주중에 휴일 또는 휴가가 있어 근로를 제공하지 않은 경우 그러한 휴일 또는 휴가기간은 실근로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그 시간을 제외하고 1주 40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연장근로가 됩니다(대법 91다14406, 1992. 10. 9.).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임금 > 노동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40시간 근무자가 무단 조퇴를 해 근무시간이 35시간인 경우, 주휴시간도 7시간을 주면 되나요 (0) | 2023.10.04 |
---|---|
당사자간 합의로 1주일에 12시간 한도로 연장근로를 할 수 있다면, 하루에는 몇 시간을 연장근로 할 수 있나요 (0) | 2023.10.04 |
주중에 결근이 있어 일을 안 했는데 토요일에 근무를 한 경우 연장근로로 볼 수 있나요 (0) | 2023.10.04 |
주중에 파업으로 인하여 일을 안 했는데 토요일에 근무를 한 경우 연장근로로 볼 수 있나요 (0) | 2023.10.04 |
연장근로는 근로자 개개인과 합의해서 실시할 수 있나요 (0) | 2023.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