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상속인1100

상속인이란 - 질문 상속인이란 - 답변 피상속인의 재산을 현실적, 포괄적으로 승계하는 자로서 피상속인과 일정한 친족관계에 있는 자연인을 말합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9. 17.
상속인의 범위와 순위는 어떻게 되나요. - 질문 상속인의 범위와 순위는 어떻게 되나요. - 답변 상속에는 혈족상속과 배우자 상속이 있으며, 배우자는 언제나 상속인이 되지만(민법 제1003조), 혈족 상속의 경우에는 피상속인과의 관계에 따라서 상속순위가 정하여 집니다. 혈족상속의 경우 제1순위 상속인은 피상속인의 직계비속, 제2순위 상속은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제3순위 상속인은 피상속인의 형제자매, 제4순위 상속인은 4촌 이내의 방계혈족입니다(민법 제1000조 제1항 참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9. 17.
피상속인의 태아는 상속순위가 어떻게 되나요. - 질문 피상속인의 태아는 상속순위가 어떻게 되나요. - 답변 태아가 살아서 태어난 경우에는 문제의 시기로 소급하여 상속인이 되므로(민법 제1000조 제3항), 피상속인의 직계비속으로서 제1순위 상속인에 해당합니다(민법 제1000조 제1항 제1호).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9. 17.
양부모와 친부모는 상속순위에서 차별을 받나요. - 질문 양부모와 친부모는 상속순위에서 차별을 받나요. - 답변 양부모와 친부모 모두 직계존속으로서 제2순위 상속인에 해당하여 상속순위에 있어 차별이 없습니다(민법 제1000조 제1항 제2호).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9. 17.
친할아버지와 외할머니가 있습니다. 손자가 죽은 경우에 친할아버지가 상속에서 우선하나요. - 질문 친할아버지와 외할머니가 있습니다. 손자가 죽은 경우에 친할아버지가 상속에서 우선하나요. - 답변 친할아버지와 외할머니는 모두 직계존속으로서 제2순위 상속인에 해당하여 상속순위에서 차별이 없습니다(민법 제1000조 제1항 제2호).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9. 17.
갑이 보험회사와 연금보험계약을 체결하면서 본인 사망시의 보험수익자를 그 상속인으로 정하였는데, 그 후 상속할 배우자나 직계비속, 직계존속 없이 사망하였습니다. 그런데 갑에게는 이.. - 질문 갑이 보험회사와 연금보험계약을 체결하면서 본인 사망시의 보험수익자를 그 상속인으로 정하였는데, 그 후 상속할 배우자나 직계비속, 직계존속 없이 사망하였습니다. 그런데 갑에게는 이성동복의 형제 을이 존재하였습니다. 이 경우 을이 갑의 상속인으로서 보험수익자라고 할 수 있나요. - 답변 판례는 "민법 제1000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피상속인의 형제자매'라 함은, 민법 개정시 친족의 범위에서 부계와 모계의 차별을 없애고, 상속의 순위나 상속분에 관하여도 남녀 간 또는 부계와 모계 간의 차별을 없앤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부계 및 모계의 형제자매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상당하다"고 판시하고 있습니다(대법원 1997.11.28, 선고, 96다5421, 판결 참조). 따라서 이성동복의 .. 2023. 9.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