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휴업수당 감액8

휴업수당을 감액하여 지급할 수 있나요 - 질문 휴업수당을 감액하여 지급할 수 있나요 - 답변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노동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법정기준에 못 미치는 휴업수당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46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10. 6.
천재지변 등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인한 휴업이 아닌 경우에도 노동위원회의 휴업수당 감액 승인을 받아야 하나요 - 질문 천재지변 등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인한 휴업이 아닌 경우에도 노동위원회의 휴업수당 감액 승인을 받아야 하나요 - 답변 천재비변 및 전쟁 등과 같은 불가항력적인 사유로 휴업하는 경우에는 노동위원회의 승인여부와 관계없이 근로기준법상의 휴업수당 지급대상이 아니므로 노동위원회의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근기 68207-598, 2000.2.28.).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10. 6.
지방노동위원회에서 휴업수당 감액신청 결과를 신청인인 사용자에게만 통지하고 근로자에게 통지하지 않아도 되나요 - 질문 지방노동위원회에서 휴업수당 감액신청 결과를 신청인인 사용자에게만 통지하고 근로자에게 통지하지 않아도 되나요 - 답변 휴업수당 감액 신청 처분의 상대방은 사용자뿐이므로 사용자에게만 그 처분의 통지를 하면 효력이 발생하고, 비록 그 처분에 따라 근로자들이 휴업수당을 감액 지급 받게 되거나 지급 받지 못하게 되더라도 그 근로자들을 그 상대방으로 하거나 그들에게 이를 통지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대법 94누9955, 1995.6.30.).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10. 6.
휴업수당 감액신청에 대한 심의 및 의결시 노동위원회는 어떠한 사항을 고려하게 되나요 - 질문 휴업수당 감액신청에 대한 심의 및 의결시 노동위원회는 어떠한 사항을 고려하게 되나요 - 답변 기업 외적인 요인으로 거래처 상황, 전반적인 사회․경제적 상황, 당해 업종․지역경제의 사정, 금융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고, 기업 내적인 요인으로 생산량, 매출액, 재고량, 영업실적, 채무상황, 인건비 변동상태, 근무시간 축소, 적자부분의 계속성 여부, 주가 변동상황, 사업규모의 축소조정, 사업지속 노력정도 등을 고려하며, 사용자가 선량한 관리자로서 최선을 다하였음에도 부득이하게 휴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초래된 것이 사회통념상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와 법정기준(평균임금 70%) 이상을 지급하는 것이 기업회생에 걸림돌로 작용하여 기업도산으로 근로자 보호에 역행할 소지가 있는지 여부, 그 밖에 성실한 노사협.. 2023. 8. 14.
회사의 휴업에 대해 당분간 휴업을 하고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하는데, 회사가 임의적으로 휴업수당을 감액해서 지급해도 되나요 - 질문 회사의 휴업에 대해 당분간 휴업을 하고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하는데, 회사가 임의적으로 휴업수당을 감액해서 지급해도 되나요 - 답변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노동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법정기준에 못 미치는 휴업수당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46조).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6. 26.
지방노동위원회에서 휴업수당 감액 승인처분을 한 경우 근로자가 이의를 제기할 수 있나요 - 질문 지방노동위원회에서 휴업수당 감액 승인처분을 한 경우 근로자가 이의를 제기할 수 있나요 - 답변 휴업수당 감액 신청 처분의 상대방은 사용자뿐이므로 사용자에게만 그 처분의 통지를 하면 효력이 발생하지만, 그 처분은 근로자들의 휴업수당 지급채권의 발생 여부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근로자들은 그 처분에 대하여 이해관계를 가진 자로서 중앙노동위원회에 재심을 신청할 수 있는 법률상 이익이 있는 자입니다(대법 94누9955, 1995.6.30.).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2. 1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