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연장근로14

임신 중인 여성도 시간외 근로를 할 수 있나요? - 질문 임신 중인 여성도 시간외 근로를 할 수 있나요? - 답변 근로기준법 제74조 제5항에 따라 사용자는 임신중인 여성에게 시간외근로를 하게 할 수 없습니다. 다만 근로기준법 제74조 제2항에 따라 임신중인 여성이 명시적으로 청구하는 경우에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야간이나 휴일근로를 시킬 수 있습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9. 24.
저는 임산부인데, 시간외 근로가 금지된다는 것을 알았지만 회사 업무 사정 상 추가근로를 하였습니다. 회사측에서는 임산부는 시간외 근로가 금지됨을 이유로 수당을 주지 않겠다는데 못받.. - 질문 저는 임산부인데, 시간외 근로가 금지된다는 것을 알았지만 회사 업무 사정 상 추가근로를 하였습니다. 회사측에서는 임산부는 시간외 근로가 금지됨을 이유로 수당을 주지 않겠다는데 못받는건가요 - 답변 시간외수당이라는 명칭을 이유로 임신 중인 여성근로자에게 이미 수행한 근로에 대한 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것은 근로기준법 위반입니다 (평정 68240-117, 2003.03.31)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9. 20.
근로시간 외에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에 따른 직업능력개발훈련을 할 경우 근로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나요 - 질문 근로시간 외에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에 따른 직업능력개발훈련을 할 경우 근로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나요 - 답변 기준근로시간 외에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당해 근로자와의 합의를 거쳐야 합니다. (인자 68500-746, 2001.06.12)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9. 20.
시민 불편 해소를 위해 공익적 목적을 가지고 통상적으로 주·정차단속을 수행해 온 무기계약 근로자들이 야간 및 주말, 공휴일 연장근로를 거부할 수 있나요 - 질문 시민 불편 해소를 위해 공익적 목적을 가지고 통상적으로 주·정차단속을 수행해 온 무기계약 근로자들이 야간 및 주말, 공휴일 연장근로를 거부할 수 있나요 - 답변 연장근로는 근로의 내용이 공익적 목적이 있는 경우라도 관련 규정에 따라 개별 근로자의 합의하에 실시되어야 하고 연장근로에 동의하지 않는 근로자에게 이를 강제할 수는 없습니다. (근로기준정책과-1911, 2015.05.06)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9. 20.
연장, 야간, 휴일근로에 대하여 수당 대신 휴가를 부여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질문 연장, 야간, 휴일근로에 대하여 수당 대신 휴가를 부여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답변 사용자는 근로자 대표와의 서면합의를 통해 근기법 제57조에 따라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것에 갈음하여 휴가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8. 4.
임산부의 연장근로를 대체하기 위해 야근이나 휴일근로를 시키는 것이 허용되나요 - 질문 임산부의 연장근로를 대체하기 위해 야근이나 휴일근로를 시키는 것이 허용되나요 - 답변 임산부의 시간외근로를 대체하기 위한 야업 및 휴일근로는 원칙적으로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평정 68240-61, 2003.02.11)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8.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