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임금/법정수당216

연차휴가를 산정 할 때 출산휴가 기간도 출근한 것으로 보나요. - 질문 연차휴가를 산정 할 때 출산휴가 기간도 출근한 것으로 보나요. - 답변 출근한 것으로 산정함(근로기준법 제60조 제6항 제2호)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10. 17.
사업자가 부당해고를 하여 근로자가 근무하지 못하게 된 경우 근로일수는 어떻게 되나요. - 질문 사업자가 부당해고를 하여 근로자가 근무하지 못하게 된 경우 근로일수는 어떻게 되나요. - 답변 예,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하였으나 해고에 정당한 이유가 없어 무효인 경우에 근로자는 부당해고기간 동안에 정상적으로 일을 계속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을 모두 지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근로자가 부당해고로 인하여 지급받지 못한 임금이 연차휴가수당인 경우에도 해당 근로자의 연간 소정근로일수와 출근일수를 고려하여 근로기준법 제60조 제1항의 요건을 충족하면 연차유급휴가가 부여되는 것을 전제로 연차휴가수당을 지급하여야 하고, 이를 산정하기 위한 연간 소정근로일수와 출근일수를 계산할 때 사용자의 부당해고로 인하여 근로자가 출근하지 못한 기간을 근로자에 대하여 불리하게 고려할 수는 없으므로 그 기간은 연간.. 2023. 10. 16.
연차휴가 사용 시기는 누가 정할 수 있나요. - 질문 연차휴가 사용 시기는 누가 정할 수 있나요. - 답변 근로자(근로기준법 제60조 제5항)에게 있습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10. 16.
근로자가 개인의 긴급한 사정으로 결근한 경우에 결근일을 사후적으로 연차휴가일로 대체해 줄 것을 요구하는 것은 정당한가요 - 질문 근로자가 개인의 긴급한 사정으로 결근한 경우에 결근일을 사후적으로 연차휴가일로 대체해 줄 것을 요구하는 것은 정당한가요 - 답변 사용자가 동의하지 아니한 이상 휴가일로의 대체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10. 16.
연차휴가의 사용시한이 있나요 - 질문 연차휴가의 사용시한이 있나요 - 답변 연차휴가는 1년간의 근로를 마친 다음날부터 1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되나,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1년 후에도 유급휴가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 제7항)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10. 16.
출산전후휴가를 썼는데 월급 받을 수 있나요 - 질문 출산전후휴가를 썼는데 월급 받을 수 있나요 - 답변 출산전후휴가 중 최초 60일(한 번에 둘 이상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75일)은 유급으로 합니다(근로기준법 제74조 제4항) 법무부에 의해 작성된 ‘버비’ 생활법률지식서비스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 10. 16.
반응형